Kubernetes -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MSA 테스트(부하분산) 진행 - 6

2020. 7. 19. 16:19MSA (Microservices Architecture) Project

6.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부하분산 테스트 진행 (Openstack [VM]과 같은 환경 진행)

:  부하분산 테스트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작동이 가능한지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.

 

• 테스트 시나리오

요구사항 및 관리목표
실행 시나리오

 

• 평소의 대시보드

: 평소의 상태 값들을 나타내는 창이다. 사전에 메트릭 서버 구축을 통하여 대시보드에 위와 같이 표시된다.

 

 

• 평소의 대시보드 (부하분산 전) 2

평소 상태 - 부하분선 전_2

 

• 평소의 대시보드 (부하분산 전) 3

평소 상태 - 부하분선 전_3

 

• 평소 상태 값 조회 - kubectl get pods, deployment

부하 전 pod, deployment 상태창

 

• 평소 상태 값 조회 - kubectl get deployment, hap

부하 전 deployment, hap 상태창

 

• 부하 시작 후 대시보드 pod, deployment, hap 창

,pod, deployment, hap 부하 시작 상태

 

• 부하 시작  명령어

접속자, 동시 접속 임의값 테스트 진행 

 

• 부하를 주고난 후의 상태 값

부하 후 상태값

: 서비스별 부하 시 오토스케일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• 테스트 진행 시 오토스케일링 명령어, 부하전 사용량에 대한 표기 값

테스트 및 부하 전 사용량 표기값

: 위와 같이 임의의 테스트 환경을 주어 진행하였다.

 

 

• 30% 기준 이상 및 정상치 표기 값 

상태 표기값

: 30% 이상일 경우 증가율, 30% 이하일 경우 다시 Min 값으로 돌아가는 것을 확인할  수 있다.

 

 

• 부하 분산 과정 진행 시 서비스 정상 작동 확인

부하분산 후 서비스 정상 작동

: 부하 분산을 진행후에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• 최종 결론

성능비교 항목

: VM기반에서 작동시 구축 PC 사양에 직접적인 영향(자원 확보)을 받으므로 컨테이너 기반과 비교분석을 하였을 때 작동하는 것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구축 PC 사양이 높다면 게스트 운영체제로 작동을 진행함에 있어 컨테이너 기반에서 자원을 공유하는 것이 아닌 자원의 독립성을 나타내므로 안정적으로 동작을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