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(13)
-
Openstack -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MSA 테스트(부하분산) 진행 - 6
6.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web 서비스 작동 확인 : MSA 프로젝트인 만큼 각 service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한지 테스트한 결과이며 kubernetes와 같은 환경 값을 주어 진행하였다. • 테스트 시나리오 • 부하 분산 전 서비스 상태 • 부하 분산 시 인스턴스 자동 생성 과정 • 부하 분산 시 인스턴스 자동 생성 - 2개 • 부하 분산 시 인스턴스 자동 생성 - 3개 • 부하 분산 시 인스턴스 자동 생성 - 4개 : 지속적인 부하 분산을 통하여 최대 4개까지로 인스턴스가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. * VM기반으로 환경 구축시 서버의 사양에 따라 결과값이 다를 수 있다. : 부하분산시에도 위와 같은 형태로 작동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..
2020.07.19 -
Kubernetes -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MSA 테스트(부하분산) 진행 - 6
6.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부하분산 테스트 진행 (Openstack [VM]과 같은 환경 진행) : 부하분산 테스트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작동이 가능한지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. • 테스트 시나리오 • 평소의 대시보드 : 평소의 상태 값들을 나타내는 창이다. 사전에 메트릭 서버 구축을 통하여 대시보드에 위와 같이 표시된다. • 평소의 대시보드 (부하분산 전) 2 • 평소의 대시보드 (부하분산 전) 3 • 평소 상태 값 조회 - kubectl get pods, deployment • 평소 상태 값 조회 - kubectl get deployment, hap • 부하 시작 후 대시보드 pod, deployment, hap 창 • 부하 시작 명령어 • 부하를 주고난 후의 상태 ..
2020.07.19 -
Kubernetes -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MSA 테스트 진행 - 5
5.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web 서비스 작동 확인 : MSA로 구성된 웹페이지에 대하여 작동이 가능한지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. • Main Page 작동 확인 • Login Page 작동 확인 • 예매 페이지 -1 작동 확인 • 예매 페이지 -2 작동 확인 • 예매 페이지 -3 작동 확인 • 예매 페이지 -4 작동 확인 • 회원가입 페이지 -5 작동 확인 • 게시판 페이지 -6 작동 확인 • 게시판 페이지 -7 작동 확인 • 메일 페이지 -8 작동 확인 • 예매 결제 페이지 -9 작동 확인 • 예매 결제 완료 페이지 -10 작동 확인 • 예매 사이트 메인 페이지 -11 작동 확인 • web 서비스 작동 시 오토 스케일링 환경 구성 : 오토 스케일링 관하여 Deplo..
2020.07.19 -
Kubernetes -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Service 환경 구축 - 4
4 Service 환경 구축 : kubernetes에서 각 서비스 pod 구축 과정을 진행하였다. • POD 초기 상태 확인 • 각 서비스 POD 생성 : 여기서 각각의 사용할 서비스를 생성해 주더라도 외부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다. Ingress가 서비스 앞에서 L7 로드밸런서 역할을 하고, URL에 따라서 라우팅을 하게 된다. • main.yaml 파일 : 80번 포트로 해당 서비스 주소로 접근 시 내부 컨테이너(POD 내)로 접속해줄 수 있게 설정한 것이다. 이러한 yaml 파일 작성을 통하여 추가적인 룰을 적용시켜줄 수 있다. • Service 생성 확인 (타 서비스 과정 동일) : 서비스를 다시 조회하였을 경우 메인 페이지에 관련하여 서비스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• Main Page 서..
2020.07.19 -
Kubernetes -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Metric Server 구축 - 3
3. Metric Server 구축 : Metric Server는 Kubernetes의 메트릭 수집 모니터링 아키텍처에서 코어 메트릭 파이프라인쪽을 가볍게 하기 위해서 힙스터를 deprecated시키고 그 다음으로 kubernetes에서 모니터링을 사용한다. • Metric Server 기본 환경 구성 : 상황별로 조회 시 pods 별로 메트릭 서버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, deploy에서 상단 설명처럼 코어 메트릭 파이프라인을 가볍게 사용하기 위해서 생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API 서버 대시보드 구축 과정을 거쳐 서비스별로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. • Metric Server 구성 사용 명령어 정리 : 하단의 표를 통하여 metric server 구성시 사..
2020.07.18 -
Kubernetes -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- API Server Dashboard 구축 - 2
2. API Server Dashboard 구축 :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ui를 제공해주었다. 하단의 작업들은 대시보드 구축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을 나타낸 것 이다. • dashboard 기본 구성 및 확인 : kubectl apply -f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kubernetes/dashboard/v2.0.0-beta1/aio/deploy/recommended.yaml - dashboard 관련 배포 yaml 파일을 실행하여 기본 구성 파일을 설치한다. • dashboard namespace 확인 : dashobard 추가 확인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작동하는지 조회한다. (running 표시 확인) : kubectl cluster-info를 통하여 확인한..
2020.07.18